소장형 전자책

- 누가 선택을 강요하는가?
- 저 자 :고동연, 고윤정
- 발행자 :시공아트
- 등록일 :2022.09.08
- 보유 권수 :3권
- 공급사 :북큐브
- 대 출 :0/3권
- 예약자수 :0명
- 소속도서관 :통합
- 추천수 :0
- 대출 여부 :가능
- 유형 :epub
- 지원기기 : PC 태블릿 모바일
추천하기 전자책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앱 설치 대출하기 목록보기
※팝업차단이 되어있는경우 뷰어실행이 되지 않습니다.
도서 소개
여성·엄마·예술가
세 가지 ‘나’의 정체성 잃지 않기
“결혼과 엄마의 역할은 작가의 생존과 번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여성, 엄마, 예술가. 서로 다른 세 가지 정체성을 지키고 발전시키는 11명의 이야기
- 여성 미술의 담론 외에도 여성의 자아, 연대, 그리고 역사까지 들여다보는 책
“국립현대미술관이나 비엔날레에 가면 떠올려 봐요. 이 중에 여성 작가는 몇이고, 몇 명이나 아이를 낳았는지. 육아와 창작을 함께한다는 건 목에 칼이 들어오는 듯한 힘든 경험이니까요.” 육아와 예술 활동을 병행하는 어느 여성 작가의 말은 이렇게 바꿀 수 있다. ‘육아하면서 회사를 다닌다는 건’, ‘육아하면서 공부를 한다는 건’….
『누가 선택을 강요하는가?』는 여성이면서 엄마이고, 동시에 예술 활동을 하고 있는 열한 명의 이야기를 담은 책이다. 독자들은 여성의 경력 단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결혼’과 ‘엄마’의 역할이 어떻게 작가들의 활동과 연관되는지를 심층적으로 들여다볼 수 있다. 여기 실린 생생하고 솔직한 경험담, 세상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 그리고 세대를 아우르는 연대는 우리 인간이 앞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반증하는 위대한 기록이기도 하다.
세 가지 ‘나’의 정체성 잃지 않기
“결혼과 엄마의 역할은 작가의 생존과 번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여성, 엄마, 예술가. 서로 다른 세 가지 정체성을 지키고 발전시키는 11명의 이야기
- 여성 미술의 담론 외에도 여성의 자아, 연대, 그리고 역사까지 들여다보는 책
“국립현대미술관이나 비엔날레에 가면 떠올려 봐요. 이 중에 여성 작가는 몇이고, 몇 명이나 아이를 낳았는지. 육아와 창작을 함께한다는 건 목에 칼이 들어오는 듯한 힘든 경험이니까요.” 육아와 예술 활동을 병행하는 어느 여성 작가의 말은 이렇게 바꿀 수 있다. ‘육아하면서 회사를 다닌다는 건’, ‘육아하면서 공부를 한다는 건’….
『누가 선택을 강요하는가?』는 여성이면서 엄마이고, 동시에 예술 활동을 하고 있는 열한 명의 이야기를 담은 책이다. 독자들은 여성의 경력 단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결혼’과 ‘엄마’의 역할이 어떻게 작가들의 활동과 연관되는지를 심층적으로 들여다볼 수 있다. 여기 실린 생생하고 솔직한 경험담, 세상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 그리고 세대를 아우르는 연대는 우리 인간이 앞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반증하는 위대한 기록이기도 하다.
목차
감사의 말
들어가는 말: 세대를 아우르는 여성, 엄마, 예술가의 생존기
1장 언니들은 아직도 달린다
1. 끝까지 갈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고 싶다: 윤석남(1939) 설치, 회화
2. 〈미친년 프로젝트〉와 한국 예술사진계: 박영숙(1941) 사진
3. 작업실과 전시장 너머에서: 홍이현숙(1958) 설치, 퍼포먼스
2장 여성의 연대가 시작되다
4. 모든 여성의 삶은 기록되어야 한다: 정정엽(1962) 회화, 다매체
5. 경력 단절 여성 작가들이 쏘아 올린 공: ‘공간:일리’와 ‘사공토크’-황수경(1970), 김수진(1972), 김성미(1970) 설치, 기획
6. 듀오, 가족 공동체 속의 여성: 진달래(1973) 디자인, 퍼포먼스
7. 슈퍼우먼 콤플렉스: 김시하(1974) 설치, 기획
3장 ‘동등하다’는 환상: 말과 행동의 이중성
8. 성평등은 머리가 아닌 몸으로 실천해 가는 것: 정직성(1976) 회화
9. 강강술래, 무기력함을 털어 내고: 김도희(1979) 설치, 퍼포먼스
10. 엄마 세대와 우리 세대, 진짜 달라졌을까요?: 조영주(1978) 영상, 퍼포먼스
11. 태아 드로잉으로 ‘엄마’인 나의 내면을 되돌아보기: 국동완(1979) 회화, 드로잉, 아트북
들어가는 말: 세대를 아우르는 여성, 엄마, 예술가의 생존기
1장 언니들은 아직도 달린다
1. 끝까지 갈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고 싶다: 윤석남(1939) 설치, 회화
2. 〈미친년 프로젝트〉와 한국 예술사진계: 박영숙(1941) 사진
3. 작업실과 전시장 너머에서: 홍이현숙(1958) 설치, 퍼포먼스
2장 여성의 연대가 시작되다
4. 모든 여성의 삶은 기록되어야 한다: 정정엽(1962) 회화, 다매체
5. 경력 단절 여성 작가들이 쏘아 올린 공: ‘공간:일리’와 ‘사공토크’-황수경(1970), 김수진(1972), 김성미(1970) 설치, 기획
6. 듀오, 가족 공동체 속의 여성: 진달래(1973) 디자인, 퍼포먼스
7. 슈퍼우먼 콤플렉스: 김시하(1974) 설치, 기획
3장 ‘동등하다’는 환상: 말과 행동의 이중성
8. 성평등은 머리가 아닌 몸으로 실천해 가는 것: 정직성(1976) 회화
9. 강강술래, 무기력함을 털어 내고: 김도희(1979) 설치, 퍼포먼스
10. 엄마 세대와 우리 세대, 진짜 달라졌을까요?: 조영주(1978) 영상, 퍼포먼스
11. 태아 드로잉으로 ‘엄마’인 나의 내면을 되돌아보기: 국동완(1979) 회화, 드로잉, 아트북
저자 소개
저자 : 고동연
국내외 아트 레지던시의 멘토, 운영위원, 비평가로 활동 중이며, 2014년부터 국내 미술인의 인터뷰 책을 출간해 왔다. 2017년과 2018년 고양 야외조각축제의 커미셔너를 역임했다. 『응답하라 작가들: 우리 시대 미술가들은 어떻게 사는가?』(2015), 『Staying Alive: 우리 시대 큐레이터들의 생존기』(신현진 공저, 2016), 『소프트파워에서 굿즈까지: 1990년대 이후 동아시아 현대미술과 예술대중화 전략』(2018), 『The Korean War and the Postmemory Generation(한국 전쟁과 후기억 세대: 동시대 미술과 영화)』(Routledge, 2021) 등을 썼다.
저자 : 고윤정
독립 큐레이터로 활동 중이다. 퍼포먼스 아트를 중심으로 한 《프롬나드런》(2019), 세종문화회관의 《행복이 나를 찾는다》(2020), 《하나의 당김, 네 개의 눈》(2021) 등을 기획했다. 2018년 『퍼포먼스 아티스트 레코딩』으로 한국의 퍼포먼스 아트, 공동체 기반의 예술을 실천하는 젊은 작가들에 대한 작은 비평서를 썼다. 끊임없이 생동하는 동시대 미술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예술가, 큐레이터, 비평가, 전시 공간 등 독립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미술계 일원이 자생하는 생태계에 주목한다.
국내외 아트 레지던시의 멘토, 운영위원, 비평가로 활동 중이며, 2014년부터 국내 미술인의 인터뷰 책을 출간해 왔다. 2017년과 2018년 고양 야외조각축제의 커미셔너를 역임했다. 『응답하라 작가들: 우리 시대 미술가들은 어떻게 사는가?』(2015), 『Staying Alive: 우리 시대 큐레이터들의 생존기』(신현진 공저, 2016), 『소프트파워에서 굿즈까지: 1990년대 이후 동아시아 현대미술과 예술대중화 전략』(2018), 『The Korean War and the Postmemory Generation(한국 전쟁과 후기억 세대: 동시대 미술과 영화)』(Routledge, 2021) 등을 썼다.
저자 : 고윤정
독립 큐레이터로 활동 중이다. 퍼포먼스 아트를 중심으로 한 《프롬나드런》(2019), 세종문화회관의 《행복이 나를 찾는다》(2020), 《하나의 당김, 네 개의 눈》(2021) 등을 기획했다. 2018년 『퍼포먼스 아티스트 레코딩』으로 한국의 퍼포먼스 아트, 공동체 기반의 예술을 실천하는 젊은 작가들에 대한 작은 비평서를 썼다. 끊임없이 생동하는 동시대 미술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예술가, 큐레이터, 비평가, 전시 공간 등 독립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미술계 일원이 자생하는 생태계에 주목한다.
출판사 서평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