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전자책

인도·티벳 문헌의 수행론
  • 인도·티벳 문헌의 수행론
  • 저 자 :방정란, 서정주, 손영산, 이영진, 임승택, 차상엽, 한상희 저
  • 발행자 :다르샤나
  • 등록일 :2022.11.03
  • 보유 권수 :3권
  • 공급사 :예스24
  • 대 출 :0/3권
  • 예약자수 :0명
  • 소속도서관 :통합
  • 추천수 :0
  • 대출 여부 :가능
  • 유형 :EPUB
  • 지원기기 : PC 태블릿 모바일

추천하기 전자책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앱 설치 대출하기 목록보기

※팝업차단이 되어있는경우 뷰어실행이 되지 않습니다.

도서 소개

이 책은 2021년 11월 10일 경북대에서 열렸던 2021 인문국제학술주간 국제학술대회의의 ‘인도·티벳 문헌의 수행론’(The Diversity of Practices shown in Indian and Tibetan Texts) 섹션에서 발표된 연구를 모아서 출판한 것입니다. 또한 이 저서는 경북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가 2020년 9월부터 진행하고 있는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 과제인 ‘요가와 명상: 텍스트(text)와 트랜스-텍스트(trans-text)’의 결과물이기도 합니다.

동서사상연구소의 ‘요가와 명상: 텍스트(text)와 트랜스-텍스트(trans-text)’ 연구과제는 요가의 ‘결락’과 명상의 ‘과대포장’이라는 문제점의 진단으로부터 시작했습니다. ‘결락’은 국내외에 소개된 현대 요가가 ‘삼매 체험을 통한 의식의 전환’이라는 핵심이 결락된 채 스트레칭에 가까운 아사나가 요가의 전부인 것처럼 포장되고 있는 현실을 의미합니다. 후자의 ‘과대포장’은 명상의 실천이 특정한 지역과 문화 혹은 종파적 배경에서 생성되었다는 맥락이 무시된 채 만병통치약으로 신비화하는 경향을 가리킵니다. 동서사상연구소에서는 요가와 명상 연구의 토대가 되어야 할 고전 텍스트들을 외면한 결과 이와 같은 ‘결락’과 ‘과대포장’이 발생했다고 진단합니다. 또한 최근 만연하고 있는 요가와 명상의 상업주의화도 이와 같은 문제를 더욱 부추기고 있습니다.

이 책은 인도와 티벳의 문헌에 나타난 다양한 요가의 실천과 수행론을 다루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단락들이 탄탄한 문헌학적 연구를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 점에서 ‘결락’과 ‘과대포장’을 과감히 도려낸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러한 만큼 덜 자극적이고 덜 세련되어 보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 방식이야말로 요가와 명상의 참모습에 다가가는 의미 있는 걸음걸이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독자 여러분과 이 걸음걸이를 함께하고 싶습니다.

목차

? 감사의 글 (임승택)
? 서문(이영진)

1. 서정주 | 바이셰시까(Vai?e?ika)의 해탈론 - 해탈에 이르는 방법을 중심으로

2. 방정란 | 밀교 문헌 편집을 통해 본 자발적 죽음(utkr?nti) 수행 전승의 일면 - Sa?varodaya 19장과 그 주석을 중심으로

3. 임승택 | 니까야(Nik?ya)에 나타나는 무아설의 유형별 분류

4. 한상희 | 성자( )론 주요 개념의 변용과 발전 聖者 - 니까야와 아비담마의 고뜨라부(gotrabh?)에 대하여-

5. 손영산 | 믿음에서 지식으로, 깨달음에서 논증으로 - 다르마끼르띠의 텍스트 이면의 ‘수행’ 관념 전환에 관하여-

6. 이영진 | 유가사지론 의 무상삼매(無相三昧?nimittasam?dhi) 서술과 번역

7. 차상엽 | 쌈얘 논쟁 연구의 현황과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