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형 전자책

- 행복한 인생을 위한 자존감 여행
- 저 자 :이영섭
- 발행자 :인피니티컨설팅
- 등록일 :2022.11.11
- 보유 권수 :3권
- 공급사 :교보문고
- 대 출 :0/3권
- 예약자수 :0명
- 소속도서관 :통합
- 추천수 :0
- 대출 여부 :가능
- 유형 :pdf
- 지원기기 : PC 태블릿 모바일
추천하기 전자책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앱 설치 대출하기 목록보기
※팝업차단이 되어있는경우 뷰어실행이 되지 않습니다.
도서 소개
사람의 마음은 급변하는 날씨처럼 매우 변덕스럽다. 어떤 날은 자신이 세상에서 가장 멋있는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다가도 어떤 날은 가장 못난 바보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또 어떤 날은 자신이 행복한 사람인 것 같다가 어떤 날은 불행하다고 느끼기도 한다. 세상은 아무 변화가 없는데 본인 스스로 어떤 생각을 하는가에 따라 감정이 요동치곤 한다. 이처럼 사람의 마음은 결국 자기가 생각한 대로 변하기 마련이다. 때문에 어떤 생각을 하고 사는지가 매우 중요하다.
결국 행복과 불행은 자신의 마음이 결정하는 것이다. 자신이 행복하다고 생각하면 행복한 것이고, 불행하다고 생각하면 불행해진다. 그렇기에 인간이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계속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신념이 필요하다. 이 신념이 바로 자존감이다. 자존감이란 자신을 사랑하고 가치 있게 느끼며, 자기 자신을 유능한 존재로 여기는 생각으로서, 자존감이 강하면 만사가 좋아 보이고, 자신이 능력 있는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며, 행복감을 쉽게 느낄 수 있다. 즉, 자존감은 자신 스스로의 가치를 빛나게 하는 힘이자, 어떠한 어려운 상황도 이겨낼 수 있다는 믿음의 원천이다.
하지만 우리 주변에는 낮은 자존감으로 인해 심리적ㆍ정서적으로 힘든 삶을 사는 사람이 상당히 많다. 자존감이 낮은 사람은 자기 자신에게 만족하지 못하고, 자신을 존중하지 못하여, 스스로를 무시한다. 심한 경우에는 자해나 자살로 이어진다. 그런가 하면 쓸데없이 분노하고 화를 내며, 심지어 타인을 괴롭히거나 학대하기도 한다. 즉, 행복한 삶의 동력을 잃어버리는 것이다.
이처럼 높은 삶의 질과 행복한 삶을 영위하는데 자존감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부인하기 어렵다. 실제 자존감에 관한 담론은 다양한 연구와 일상생활에서 항상 논의의 중심에 있어왔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자존감에 관한 정보가 넘쳐나는 만큼 그 개념에 대한 잘못된 정보와 오해가 많으며, 무엇보다 자존감 증진을 위한 구체적인 심리 프로그램을 찾기는 매우 어려운 현실이다.
이 책은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자존감 증진을 위한 실천적 방안을 소개하기 위해 저술되었다. 자존감 저하로 고생하는 사람이나, 그러한 사람을 돕고자 하는 사람 모두가 참고할 수 있도록 한 권에 최대한 많은 내용을 담고자 노력하였다.
목차
목 차
머리말 3
목 차 5
제1장 자존감의 정의와 필요성 1
1. 행복의 조건 3
2. 자존감의 정의 6
3. 자존감의 중요성 및 특징 9
4. 자존감의 필요성 12
5. 자존감이 낮을 때 나타나는 현상 17
6. 자존감의 수준 19
7. 자존감 안정성 21
8. 자존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23
제2장 자존감의 종류 29
1. 자존감의 종류 31
2. 전반적 자존감 32
3. 방어적 자존감 33
4. 조건부 자존감 34
5. 내적 자존감 36
6. 외적 자존감 37
제3장 자존감과 유사한 용어 38
1. 자존감과 유사한 용어 40
2. 자존심(自尊心) 41
3. 자만심(自慢心) 43
4. 자기효능감(自己效能感) 44
5. 자부심(自負心) 45
6. 자긍심(自矜心) 46
7. 자애심(自愛心) 47
제4장 발달 단계에 따른 자존감 50
1. 영아기 자존감 52
2. 유아기 자존감 59
3. 아동기 자존감 62
4. 청소년기 자존감 66
5. 성인 전기 자존감 70
6. 성인 중기 자존감 73
7. 노년기 자존감 76
제5장 지존감 형성 요소 81
1. 자기 통제력 83
2. 성취감 86
3. 회복 탄력성 88
4. 소속감 92
5. 자아정체감 93
6. 우울증 95
7. 불안 98
8. 윤리관 101
9. 기타 요인 102
제6장 장소에 따른 자존감 105
1. 가정 자존감 107
2. 학교 자존감 110
3. 사회적 자존감 117
제7장 자존감을 높이는 방법 119
1. 자성예언을 하게 한다 121
2. 주변의 기대감을 높이게 한다 124
3. 자신을 사랑하게 한다 127
4. 긍정적으로 생각하게 한다 130
5. 목표를 세우게 한다 132
6. 도전하게 한다 134
7. 남과 비교하지 않게 한다 136
8. 깊은 자책을 하지 않게 한다 138
9. 완벽에서 벗어나게 한다 140
10. 외모를 바꾸게 한다 142
11. 자신을 칭찬하게 한다 145
12. 자신을 격려하게 한다 147
13. 건강하게 살도록 한다 149
14. 욕심을 버리게 한다 151
15. 다른 사람을 돕게 한다 153
16. 좋은 친구를 사귀게 한다. 155
17. 노후준비를 하게 한다 157
제8장 자존감 지도사의 비전과 역할 161
1. 자존감 지도사의 정의 163
2. 자존감 지도사의 자질 164
3. 자존감 지도사의 역할 166
4. 자존감 지도사의 전망 168
제9장 자존감 검사와 자존감 카드 171
1. 모리스 로젠버그의 자존감 척도 173
2. 성인용 자존감 척도 175
3. 아동용 자존감 척도 179
4. 자존감 카드 183
제10장 자존감을 높이는 활동지 189
1. 자존감 활동지 활용 방법 191
2. 행복 목록 찾기 193
3. 행복 마인드맵 그리기 194
4. 자성 예언하기 196
5. 나에 대한 기대감 찾기 196
6. 나의 자랑 찾기 197
7. 나의 장점 찾기 198
8. 나의 생애 설계 199
9. 나의 인생 곡선 200
10. 나의 버킷리스트 201
11. 나의 실수 202
12. 나의 완벽함 203
13. 나의 외모 204
14. 자기 칭찬하기 205
15. 자기 격려하기 206
16. 지금 나에게 해주고 싶은 말 207
17. 나의 자아정체성 208
18. 나의 효능감 209
19. 나의 장점과 단점 보완하기 211
20. 나의 감정 찾기 212
부록 215
1. 자존감 지도사 양성과정(2일 과정) 219
2. 자존감 지도사 양성과정 : 지자체용 220
3. 자존감 지도사 양성과정 : 대학교 평생교육원용 225
4. 자존감 지도사 양성과정 : 여성인력개발센터용 228
5. 자존감 캠프 제안서 235
참고 문헌 239
저자 소개 245
머리말 3
목 차 5
제1장 자존감의 정의와 필요성 1
1. 행복의 조건 3
2. 자존감의 정의 6
3. 자존감의 중요성 및 특징 9
4. 자존감의 필요성 12
5. 자존감이 낮을 때 나타나는 현상 17
6. 자존감의 수준 19
7. 자존감 안정성 21
8. 자존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23
제2장 자존감의 종류 29
1. 자존감의 종류 31
2. 전반적 자존감 32
3. 방어적 자존감 33
4. 조건부 자존감 34
5. 내적 자존감 36
6. 외적 자존감 37
제3장 자존감과 유사한 용어 38
1. 자존감과 유사한 용어 40
2. 자존심(自尊心) 41
3. 자만심(自慢心) 43
4. 자기효능감(自己效能感) 44
5. 자부심(自負心) 45
6. 자긍심(自矜心) 46
7. 자애심(自愛心) 47
제4장 발달 단계에 따른 자존감 50
1. 영아기 자존감 52
2. 유아기 자존감 59
3. 아동기 자존감 62
4. 청소년기 자존감 66
5. 성인 전기 자존감 70
6. 성인 중기 자존감 73
7. 노년기 자존감 76
제5장 지존감 형성 요소 81
1. 자기 통제력 83
2. 성취감 86
3. 회복 탄력성 88
4. 소속감 92
5. 자아정체감 93
6. 우울증 95
7. 불안 98
8. 윤리관 101
9. 기타 요인 102
제6장 장소에 따른 자존감 105
1. 가정 자존감 107
2. 학교 자존감 110
3. 사회적 자존감 117
제7장 자존감을 높이는 방법 119
1. 자성예언을 하게 한다 121
2. 주변의 기대감을 높이게 한다 124
3. 자신을 사랑하게 한다 127
4. 긍정적으로 생각하게 한다 130
5. 목표를 세우게 한다 132
6. 도전하게 한다 134
7. 남과 비교하지 않게 한다 136
8. 깊은 자책을 하지 않게 한다 138
9. 완벽에서 벗어나게 한다 140
10. 외모를 바꾸게 한다 142
11. 자신을 칭찬하게 한다 145
12. 자신을 격려하게 한다 147
13. 건강하게 살도록 한다 149
14. 욕심을 버리게 한다 151
15. 다른 사람을 돕게 한다 153
16. 좋은 친구를 사귀게 한다. 155
17. 노후준비를 하게 한다 157
제8장 자존감 지도사의 비전과 역할 161
1. 자존감 지도사의 정의 163
2. 자존감 지도사의 자질 164
3. 자존감 지도사의 역할 166
4. 자존감 지도사의 전망 168
제9장 자존감 검사와 자존감 카드 171
1. 모리스 로젠버그의 자존감 척도 173
2. 성인용 자존감 척도 175
3. 아동용 자존감 척도 179
4. 자존감 카드 183
제10장 자존감을 높이는 활동지 189
1. 자존감 활동지 활용 방법 191
2. 행복 목록 찾기 193
3. 행복 마인드맵 그리기 194
4. 자성 예언하기 196
5. 나에 대한 기대감 찾기 196
6. 나의 자랑 찾기 197
7. 나의 장점 찾기 198
8. 나의 생애 설계 199
9. 나의 인생 곡선 200
10. 나의 버킷리스트 201
11. 나의 실수 202
12. 나의 완벽함 203
13. 나의 외모 204
14. 자기 칭찬하기 205
15. 자기 격려하기 206
16. 지금 나에게 해주고 싶은 말 207
17. 나의 자아정체성 208
18. 나의 효능감 209
19. 나의 장점과 단점 보완하기 211
20. 나의 감정 찾기 212
부록 215
1. 자존감 지도사 양성과정(2일 과정) 219
2. 자존감 지도사 양성과정 : 지자체용 220
3. 자존감 지도사 양성과정 : 대학교 평생교육원용 225
4. 자존감 지도사 양성과정 : 여성인력개발센터용 228
5. 자존감 캠프 제안서 235
참고 문헌 239
저자 소개 245
저자 소개
저자 : 이영섭
이 영 섭저자 이영섭은 인피니티컨설팅(주)의 대표이사로서 2004년부터 현재까지 메이저 호텔 멤버십 컨설팅과 회원 관리를 하고 있다.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호텔 멤버십 회원과 소통하며 고객의 성향과 욕구를 치밀하게 분석해 왔다. 사람들이 관광과 여행을 즐기는 과정에서 정서적 위안을 얻는 모습에 주목, 이러한 효과에 대한 사회과학적 분석과 전파를 위해 2021년 한국여행치료협회, 한국관광심리협회, 한국여행심리협회를 설립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같은 해, “여행치료-이론과 실제”, “힐링여행-이론과 실제”를 출간하여 여행을 통한 심리치료 방법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아울러 여행심리상담사, 힐링여행지도사, 자존감 지도사 민간자격과정을 개설하여 여행치료 프로그램의 보급에 매진하고 있다.(現) 인피니티컨설팅(주) 대표이사(現) 한국여행치료협회 회장(現) 한국관광심리협회 회장(現) 한국여행심리협회 회장경희대학교 호텔관광학과 박사 수료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
저자 : 이도경
이 도 경저자 이도경은 한국여행치료협회의 홍보이사로서 온라인 마케팅과 대외협력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아울러 현재 한무컨벤션(주) 그룹 비서실에 재직하며 관광업에서의 견문(見聞)을 넓히고 있다. 풍부한 실무 경험에 더해 학술적 분석 역량을 높이고자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고, 현재는 관광학과 박사과정에 진학하여 여행이 심리증상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을 연구하고 있다.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한국여행치료협회의 여행치료 심리상담사 자격과정 교육 프로그램 중 현장 심리상담 프로토콜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現) 한국여행치료협회 홍보이사(PR & Communication Director)(現) 한무컨벤션(주) 그룹 비서실 비서(現)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관광학과 박사과정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 석사한양여자대학교 항공서비스전공 호텔관광학 학사
저자 : 이석배
이 석 배저자 이석배는 영국 런던정치경제대학교 (London School of Economics and Political Science) 출신 박사로, 약 5년 간 영국 런던 University of Westminster의 Lecturer로서 재직했다. 국제관계, 경영, 관광 분야 논문을 활발히 게재하고 있으며, 경영컨설턴트와 프로젝트 매니저로서 국내외 다양한 정부, 민간사업을 성공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현재 인피니티컨설팅(주) 마케팅이사로서 시장과 고객분석 업무를, 한국여행치료협회의 수석 부회장으로서 협회 프로젝트 개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現) 인피니티컨설팅(주) 마케팅이사(現) 한국여행치료협회 수석 부회장(現) 한국관광심리협회 부회장(現) 한국여행심리협회 부회장Lecturer - University of Westminster, London Visiting Scholar - Institute for Defence Studies and Analyses, New Delhi